세상사.

싸가지

홍률 2015. 7. 8. 20:12

 

 

2014. 12. 25

 

 

[싸가지]를 백과사전에서 찾으면

 

'싹수'의 방언 (강원, 전남)

'소갈머리'의 방언 (전라)

 

이라고 나옵니다. 그런데 흔한 말로「싹수가 없다」라고 검색해 보면은

 

사람들이 사람의 됨됨이를 볼 때 [인, 의, 예, 지]를 갖춘 사람을 최고의 인격을 갖춘 사람으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됨됨이가 없다는 뜻에서 [인, 의, 예, 지]가 없는 즉, 사(4. 넷) 가지가 없다라고 하였고

그 발음이 된소리여서 싸가지 발음으로 되었다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주변에서 생활이나 말속에 녹아드는,

[싸가지]로 흔히 말하는 전라도 양반(?)들의 부드럽고 점잖으며 예기가 넘쳐나는「싸가지가 없다」라는 뜻은 또 어떻게 표현하고 있을까요?.

전라도의 [싸가지]는 토속적이며 우아하고 아름답습니다.

안 그렇습니까?.

 

세상을 살아가며 꼭 지켜야 할 네 가지가 있습니다.

 

그 첫째는 겸손입니다.

겸손한 자의 특징은 언제나 자기의 공을 남에게 돌리고,

윗사람을 공경할 줄 알며,

항상 자기의 일을 반성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둘째는 예의입니다.

물론, 겸손도 예의 의 한 축을 지탱하는 것은 사실입니다만 그러나

예의란 또한 사람들 사이에 서로의 존경에 대한 약속이니 겸손과는 조금 다르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셋째는 양보입니다.

옛말에도 양보지심이라고 하여 언제나 나 자신보다는 남을 먼저 생각할 줄 아는 자세를 처세의 으뜸으로 삼았습니다.

이 또한 배려이지요.

 

마지막 네번째는 신용입니다.

신용 있는 행동은 모든 사람에게 귀감이 되며 믿음이 됩니다.

 

이 네가지는 예나 지금이나 사람이 살아가며 꼭 지켜야 할 덕목이며,

이것을 겸비하지 못한 사람을 가리켜 4가지를 갖추지 못한 사람이란 뜻의 [싹수없는 사람] 이란 말로 불렀습니다.

 

우리식(전라도식)으로 하자면 [싸가지 없는 새끼]가 되겠지요.

품위 있고 멋들어진 말 아닙니까?.

[싸가지]는 수평문화의 산실이며 협동정신이 모체가 되어 살아가는 전라도의 정신입니다.

 

 

 

 

'세상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꽃제비  (0) 2015.10.13
보민  (0) 2015.07.10
인생  (0) 2015.07.08
사는 기준  (0) 2015.07.08
비움과 채움  (0) 201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