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같은 출가 수행자는 세상의 눈으로 보면 모두가 불효자이다.
낳아 길러준 은혜를 등지고 뛰쳐나와 출세간의 길을 가고 있기 때문이다.
어머니가 많이 편찮으시다는 소식을 듣고 대전에 들려 만나 뵈었다.
그때의 어머니는 많이 쇠약해 보였다.
나를 보더니 전에 없이 눈물을 지으셨다.
이때가 이승에서의 모자간 마지막 상봉이었다.
어머니가 아무 예고도 없이 내 거처에 불쑥 찾아오신 것은 단 한 번 뿐이었다.
광주에 사실 때인데 고모네 딸을 앞세우고
직접 [불일암]에 올라오신 것이다.
내손으로 밥을 짓고 국을 끓여 점심상을 끓여 드렸다.
어머니는 혼자 사는 아들의 음식 솜씨를 대견하게 여기셨다.
그리고 그날로 산을 내려가셨는데 마침 비가 내린 뒤라 개울물이 불어 노인이 징검다리를 건너가기가 위태로웠다.
나는 바짓가랑이를 걷어 올려 어머니를 등에 업고 개울을 건넜다.
등에 업힌 어머니가 바짝 마른 솔잎처럼 너무나 가벼워 마음이 몹시 아파왔다.
그 가벼움이, 어머니의 실체를 두고두고 생각게 했다.
어느 해 겨울 어머니가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는 순간
아 ㅡ
이제는 내 생명의 뿌리가 껵였구나 생각이 문득 들었다.
그 시절은 혼자서도 결제(승가의 안거제도)를 철저히 지키던 때라
서울에 있는 아는 스님에게 나 대신 장례에 참석하도록 부탁했다.
49재 결제가 끝난 후 찾아뵙고 영단에 올려진 영정을 보니 눈물이 주체할 수 없이 흘러내렸다.
나는 친어머니에게는 자식으로서 효행을 못했기 때문에
어머니끼리 모이는 집회가 있을 때면 어머니를 대하는 심정으로 그 모임에 나간다.
길상회에 나로서는 4년 남짓 꾸준히 나가는 것도
어머니에 대한
불효를 보상하기 위해선지 모르겠다.
나는 이 나이에 이 처지인데도
인자하고 슬기로운 모성 앞에서는 반쯤 기대고 싶은 그런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어머니는
우리 생명의 언덕이며 뿌리이기 때문에
기대고 싶은 것이다.
오두막 편지 / 법정 스님.
추모 1주기를 맞이하여 속세의 어머니를 그리는 불제자 [人間] 법정의 남긴 글.
삼라만상의 그 누가 있어 나를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할 수 았습니까.
만물의 그 무엇이 나로 인해 햇빛을 보게 할 수 있습니까.
졸졸 흐르는 물소리도 바람결에 나부끼는 나뭇잎도 어머니 당신 때문입니다.
이제는 꿈으로 오고 뵈올 수도 없고 만질 수도 없어 샘 골목 우리 집 어디에도 없는 어머니
천상의 어머니, 당신 때문입니다.
법정,
그대는 그래도 저 보다는 회한이 없겠지요.
마른 솔잎이라도 어머니를 업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고 그대 손으로 밥을 짓고 국을 끓여 점심상을 드렸다 하니
이제 신이 되신 당신이어도 그보다 더한 기쁨이 어디 있었겠습니까.
남겨진 그대의 [오두막 편지]에서 당신의 어머니를 뵈옵고 나도 문득 나의 어머니를 떠 올립니다.
우수영의 갯가에서 혹은 양포의 갯가에서 바닷바람 쐬이시면서 우리들의 어린 시절을 함께 길러주신
사랑스러운 우리들 어머니.
어머니입니다.
'사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제, 그리고 오늘. (0) | 2011.09.12 |
---|---|
달이. (0) | 2011.05.27 |
형제의 우애. (0) | 2011.02.06 |
은퇴. (0) | 2011.02.03 |
[스크랩] 카타르 아시안 컵, 잘 싸웠다. (0) | 2011.01.26 |